이 때부터 예수께서 비로소 전파하여 이르시되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시더라
마 4:17
안녕하세요 제이제이 입니다!
오늘부터 [예말순 시리즈]
예수님 말씀 순종하기 시리즈로
차근차근 이야기 해보려고 해요.
오늘은 첫째! "회개하라"입니다.
1. 누가 회개를 해야 할까요?
기록된 바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깨닫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찾는 자도 없고
다 치우쳐 함께 무익하게 되고 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
롬 3:9~13
로마서에 따르면 모든 사람은 죄인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의인이 하나도 없으니까요.
회개의 대상은
저와 여러분, 어느 누구하나 상관없이 해야 하는 것입니다.
2. 우리는 왜 회개를 해야 할까요?
예수님의 말씀에서 우리는
회개를 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시더라
마 4:17
회개의 이유는 천국, 즉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와서
우리가 회개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하나님 나라는 죄가 없는 거룩한 나라입니다.
그 말의 뜻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뜻에 따라
죄에 대해 명명백백히 심판을 하신 다는 것이에요.
하나님은 지금
죄인들에 대해 진노하고 계세요.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그분 자신을 이 땅에 드러내시고
그분에 대해 알만한 것을 알리셨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온갖 죄로 하나님을 거절하고 무시했기 때문이에요.
롬 1:18~32
3. 이런 일을 행하는 사람을 판단하여 정죄하면서도
자기 자신도 이런 일을 행하는 사람이여,
그대가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줄로 아십니까?
4. 그렇지 않으면,
선하신 하나님께서 그대를 인도하여
회개의 자리로 이끌고자 하시는데도
그것을 알지 못하고, 그분께서 베푸시는 풍성한 인자하심과 용납하심과
오래 참으심을 오히려 멸시하는 것입니까?
5. 그대가 회개할 줄 모르는 완고함과 완악함을 발휘하는 그만큼
그대는 장차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날에
자신이 받을 진노를 스스로 쌓아 올리고 있는 것입니다.
롬 2:3~5 (쉬운말성경)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끊임없이 죄를 짓습니다.
회개를 하지 않으면 우리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날에
우리가 받을 진노를 쌓아 가는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겠죠.
이 진노의 날이 가까이 왔다고
마태복읨 4장 17절에서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입니다.
셋째,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하여
마 4:17 & 행 2:37에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회개하라 (마 4:17)
베드로가 대답했다.
"회개하십시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침례를 받으십시오
그러면 죄를 용서받을 수 있고, 성령을 선물로 받게 될 것입니다.
행 2:37(쉬운말 성경)
넷째, 회개란 무엇입니까?
회개를 영어로 번역하면 "Return"입니다.
죄로부터 하나님께로 전적으로 돌아서는 것을 뜻하지요.
죄라는 것은
하나님의 뜻에서 어긋난 모든 것을 뜻하기 때문에
돌아서는 방향은 오직 하나님의 뜻으로 돌아서야 합니다.
(하마르티아 ; 과녁에서 벗어남)
뿐만 아니라 원어인 헬라어의 뜻은
바로 '변화'입니다.
무엇을 '변화'시켜야 하냐면
나의 '과거, 현재, 미래' 모든 것입니다.
특히나 우리의 '죄'는
단지, 나 개인의 죄의 결과가 아닌
함께 살아가고 관계가 있는 사람들의 죄의 결과가
엉키고 섥혀 만들어지게 됩니다.
부모로부터의 잘못된 양육 방식의 결과,
친구들과의 관계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타인의 죄가 내게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가슴 한켠에 아픔을 묻어두고 살아가는 것이지요.
또한 더이상 아프고 싶지 않아
방어기제 또한 생기게 됩니다.
이 모든 것은 오직
내 존재 자체를 사랑하시는,
별 다른 이유없이
단지
나
라서 사랑하시는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변화시켜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나의 죄'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죄'를 사하시기 위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후 부활 하셨습니다.
우리는 이 예수님을 믿고, 그분의 용납하심에
깊이 있게 묵상해야 합니다.
그렇게 될 때 우리의 방어기제로 태어난
'거짓자아', 즉 반복적인 죄성을 없앨 수 있으며
하나님의 형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입니다.
죄의 종이었던 우리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부활해야 합니다.
내 안의 모든 부분에 그리스도가 함께 계시고
그리스도 안에 우리가 함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변화'이며 '회개'입니다.
다섯째, 회개의 결과
회개를 했을 때
첫째, 우리는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게 됩니다.
만약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지 않을 때 우리는
심판의 날에 도끼에 찍혀 던져지는 나무와 같을 것입니다.
(마 3:10)
둘째,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얻습니다.
(요 1:12)
자녀이면 또한 상속자 곧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 한 상속자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할 것이니라
(롬 8:17)
셋째, 의롭다고 인정을 받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립니다.
1. 그러므로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께 의롭다고 인정을 받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평화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2. 또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이 은혜의 자리로 나아올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할 소망을 품고 기뻐하고 있습니다.
10. 우리가 하나님과 원수 되었을 때에도 그 아들의 죽음으로 인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게 되었으니, 이미 화해가 이루어진 지금 우리가 하나님의
영원한 생명으로 인해 구원을 받게 될 것은 확실합니다.
11. 그 뿐만이 아닙니다. 우리는 또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하나님 안에서 기뻐합니다. 두리가 하나님과 화해할 수 있게 된 것은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았기 때문입니다.
(롬 5:1~2 ; 10~11)
-------------------------------------------------------------------
여기까지 우리는
왜 회개를 해야 하는지,
누가 회개를 해야하는지,
회개란 무엇인지,
어떻게 회개를 해야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Blog > Ser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의 삶 (아브라함의 이야기 ; 히11:13-22) (0) | 2022.07.20 |
---|---|
Way Church 검암 CPC2. 숙제 (0) | 2020.07.12 |
Way Church 검암 CPC1. 숙제 (0) | 2020.07.05 |
스스로를 기준 삼았을 때 생기는 일 (0) | 2020.04.23 |
하나님의 일(Work of God &Baby Faith) (0) | 2020.02.04 |